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보자
신사업을 개척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해하는 것이다. 비즈니스 모델은 1990년대 실리콘밸리의 벤처 기업들이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그들의 사업수익 실현과정을 은행이나 벤처 자본들에게 설명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다. 비즈니스 모델은 정해진 규칙 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많은 자본과 긴밀한 관계를 가질 수 있었다.
현재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 활동을 설명하는 여러 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되었다. 따라서 비즈니스 모델을 다양한 고객들에게 어떻게 설명할지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베인컴퍼니 파트너였던 조안 마그레타는 비즈니스 모델을 성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서술형 테스트와 재무성과 테스트를 거쳐야 한다 주창한다.
서술형 테스트는 고객들에게 사업을 흥미롭고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게끔 어떻게 서사에 맞게 풀어나갈지 시험하는 것이다. 이는 고객들에게 고객 가치와 제품 및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지 확신이 있어야 한다.
재무성과 테스트는 돈의 흐름을 통해 성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향후 투입될 자산과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결론적으로 얼마를 벌 수 있을지 보여줌으로 투자자에게 확신을 주는 시험 과정이다. 재무성과 테스트는 투자를 목적으로 기획되기 때문에 최종적인 가격 모델을 만들어 수익에 대해 논의할 수 있어야 한다.
서술형과 재무성과 테스트는 비즈니스 모델 구상이 표준처럼 사용되면서 많은 전략기획 컨설턴트와 기업가들이 사용하고 발전시켰는데, 2004년 오스터왈더가 서술형 테스트를 표현할 수 있는 도구인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창안하면서 세계적으로 표준화가 되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브레인스토밍과 같은 방법을 통해 사업 모델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9개의 사업 요소별로 분류한 양식을 말한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만든 오스터왈드는 당시 사용되던 비즈니스 모델의 자료를 분석해 개념을 9개의 사업 영역으로 재구성했는데, 이는 각 영역별로 행동을 파악해 기업의 수익 창출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가치 제안을 중심으로 기업의 가치가 고객에게 전달되는 과정과 기업이 가치를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가치가 고객에게 전달되는 과정은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고 수익이 창출되는 것을 보여준다.
9개 사업 영역에서 고객의 이해와 기업이 고객에게 전달하는 가치,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수단, 고객 관계, 고객이 대가로 지불하는 수익이 이에 해당된다.
기업이 가치를 만들어내는 과정은 고객이 관심을 가지지는 않지만 기업은 자원을 소비하고 사업 활동을 통해 고객이 만족할 가치를 창출해내야 하는 핵심 과정이다.
9개 사업 영역에서 비즈니스가 진행되기 위해 필요한 장비 등의 물적 자원과 인적 자원을 의미하는 핵심자원, 가치 제안을 만들고 비즈니스의 진행을 위해 필요한 핵심 활동, 비즈니스 진행에 필요한 외부 이해관계자, 고정비와 변동비, 외주비를 포함한 비용이 여기에 해당된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사업에 있어서 점검 사항을 재확인하고 영역별 중요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현재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신사업 개발과 자금 확보와 같은 문제에 직면했을 때 위험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